React 파해치기(1)
포스트
취소

React 파해치기(1)

리액트

컴포넌트

출력값이 element tree 인 class 또는 functi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App.css';

function App1() {
  const name = 'react';
  return <div className = "react">{name}</div>
}

class App2 extends Component {
  render() {
    const name = 'react';
    return <div className="react">{name}</div>
  }
}

babel을 통해서 확인해 보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use strict";

var _react = _interopRequireDefault(require("react"));

require("./App.css");

function _interopRequireDefault(obj) { return obj && obj.__esModule ? obj : { default: obj }; }

function App1() {
  const name = 'react';
  return /*#__PURE__*/_react.default.createElement("div", {
    className: "react"
  }, name);
}

class App2 extends Component {
  render() {
    const name = 'react';
    return /*#__PURE__*/_react.default.createElement("div", {
      className: "react"
    }, name);
  }

}

jsx로 작성된 코드들이 React.createElement()를 통해 Object로 변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함수로 작성된 코드는 바로 호출되고 클래스는 새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render()를 통해서 호출된다. 함수는 그 자체로는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거나 state와 같은 라이프사이클에 접근할 수 없다.

그리고 생성된 App1을 console.log(App1())으로 출력해보면 다음과 같은 리엑트 오브젝트로 변환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1
2
3
4
5
6
7
8
Object { "$$typeof": Symbol("react.element"), type: "div", key: null, ref: null, props: {}, _owner: null, _store: {},  }
"$$typeof": Symbol("react.element")
...
key: null
props: Object { className: "react", children: "react" }
ref: null
type: "div"
...

console.log(<App1/>)으로 찍어보면 type 부분이 type: function App1()으로 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부분이 실제 컴포넌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클래스의 경우 function 대신 class App2() 이런 식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이 오브젝트가 바로 가상 DOM이다.

React는 각각의 컴포넌트를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으로 추적하고 각각의 인스턴스는 라이프사이클과 내부 state를 가지고 있다.

재조정(Reconciliation)

리액트에서 변경점이 생기게 되면 바꿔야 되는 부분만 알고리즘을 통해서 비교를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트리를 비교하게 되면 O(n3)의 복잡도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두 가지 가정을 통해 O(n)의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1. 서로 다른 타입의 두 엘리먼트는 서로 다른 트리를 만들어낸다.
  2. 개발자가 key prop을 통해, 여러 렌더링 사이에서 어떤 자식 엘리먼트가 변경되지 않아야 할지 표시해 줄 수 있다.

엘리먼트 타입이 다를 경우

<div> 에서 <img>와 같이 타입이 바뀔 경우 해당 자식 노드까지 포함해서 전부 새로 재구축합니다.

타입이 같을 경우

같은 엘리먼트일 경우 변경된 속성만 바꿉니다.

같은 타입의 컴포넌트 엘리먼트

컴포넌트 인스턴스의 props를 갱신합니다.

자식에 대한 처리

자식을 비교하게 될 경우 재귀적으로 첫 자식부터 비교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변경점이 생기면 해당 자식 이후 노드를 새로 재구축합니다. 이 경우 맨 앞에 자식이 추가될 경우 전부 재구축해야되는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럴 경우 Key값을 부여하면 해당 값을 기준으로 비교를 하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만 재구축할 수 있습니다. Key값은 index와 같이 상태에 영향을 받는 값을 사용하면 소용이 없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ul>
  <li>first</li>
  <li>second</li>
</ul>

//앞에 zero가 추가된게 아니라 li가 전부 삭제되고 새로 생성된다.
<ul>
  <li>zero</li> 
  <li>first</li>
  <li>second</li>
</ul>

렌더링

이렇게 만들어진 리엑트 노드들은 ReactDOM 이나 React Native 같은 렌더러에 의해서 화면에 표시되게 됩니다. 리액트의 state와 같은 것들이 변경되게 되면 해당 변경점들을 비교한 다음 수정해야 될 노드들을 dispatcher를 통해 렌더러에 요청하게 됩니다.

참고 How Does React Actually Work? React.js Deep Dive #1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